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

자동차 보험사기 유형 및 예방법

 

요즘 뉴스에서 자동차 보험사기에 관한 뉴스를 자주 접하게됩니다.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어 미리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아차' 하는 순간에 보험사기의 표적이될수 있는데요~

오늘은 자동차 보험사기 유형 및 예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CASE 1. 교통법규 위반 대상 차량 보험사기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자동차 보험사기로는 차선변경 위반, 중앙선 침범,

불법유턴, 신호위반 등 교통법규 위반 차량에 일부러 사고를 낸 후

보험금이나 합의금을 직접 받아내는 경우입니다.

 

특히 차선변경의 경우 교통법규를 위반한다는 생각을 크게 가지고 있지 않기때문에

실선인 차선에서 무심코 변경하면 보험사기의 표적이 될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CASE 2. 칼치기

 

칼치기의 경우 상당히 조직적으로 움직이기때문에 알면서도 당하기 쉬운 보험사기입니다.

일단 앞 차가 정 속도보다 상당히 천천히 가며 차선변경을 유도하고

대상 차량이 차선병경을 하게되면 고가의 외제차로 급정거 또는 가속을 하여

추돌사고를 내도록 유도하는 유형입니다.

 

CASE 3. 손목치기

 

손목치기는 말 그대로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일부러 손목을 부딪히는 수법으로

사고를 일으켜 운전자에게 합의금을 받아내는 방법입니다.

 

폭이 좁은 골목길이 주요 범죄 지역이 되며, 교통사고가 나면 벌점과 함께 불이익이 있는

택시가 피해대상이 되기 쉽습니다.

적게는 몇만원에서 많게는 50만원 정도의 합의금을 현금으로 받게되기때문에

피해자들이 사기라는걸 인지하면서도 문제삼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알면서도 당하기 쉬운 자동차 보험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험사기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교통법규 위반 차량의 경우 보험사기범들의 표적이 되기 쉽기때문에, 항상 교통법규를 지키고,

안전운전을 하는 습관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골목길이나 횡단보도처럼 보행자와 운전자가 함께 다니는 장소에서는 천천히 다니고

조금이라도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보행자가 있다면 차량을 움지이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멈춰있는것이 좋습니다. 블랙박스를 다는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과속하지 않고 되도록 앞차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운전하여

자동차 보험사기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시며, 나아가 사고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