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이미지에 변화를 주기위해 또는 안경과 렌즈착용의 불편함으로 부터 벗어나기위해
시력교정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력교정술의 대표를 뽑으라고 하면 라식과 라섹수술을 뽑을수 있는데요!!
라식, 라섹도 종류가 많기때문에 정확한 눈검사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시력교정술을 받아야만
시력회복의 효과를 최대한 많이 볼수 있으며 부작용으로부터 벗어날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다양한 시력교정술의 종류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라식수술의 종류
1. 크리스탈 라식
다빈치라식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크리스탈라식은 더욱 매끄럽고 정밀한 각막 절편을 만들수 있어
안전하고 빠른 수술시간과 수술후 4 ~ 5시간 이내 시력회복이 가능한것이 장점입니다.
주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직장인, 학생들이 주말을 이용해 많이 수술을 하고 있습니다.
2. 에피 라식
라식의 간편함과 라섹의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에피라식은 각막이 얇아 라식수술이 불가능했던
분들도 수술을 받을수 있는등 일반 라식보다 대상범위가 넓어 많이 선택하고 있는 수술입니다.
에피라식은 통증이 적으며 시력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것이 장점입니다.
3. 마이크로 라식
고도 근시로 더 많은 각막 조직을 깎아야 하는 경우, 각막 두께가 얇아 기존 라식 수술이 불가능 했던 경우에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마이크로 라식은 기존 라식보다 더 많은 잔여각막을 남김으로써 수술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시력교정수술의 종류입니다.
바로가기 ☞ [라식수술의 종류 더 살펴보기]
라섹수술의 종류
1. 올레이저 라섹
올레이저 라섹은 각막의 가장 바깥부분인 상피부분을 기존 라섹수술에서 사용하는 알콜성 약물이 아닌
레이저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각막 실질부위에 다시한번 레이저를 조사해 시력교정하는 수술입니다.
그중 아마리스 750 올레이저 라섹은 각막상피만 벗겨내는 라섹의 장점과 레이저를 이용하여 오차없이
조사하는 라식의 장점을 합친 라섹수술의 한 종류입니다.
2. 웨이브프론트 라섹
웨이브프론트라섹은 근시와 난시를 교정하는 수준을 넘어 개인마다 다른 각막 지형과 안구구조, 특성 등을
고려한 개인 맞춤시력교정수술이라고 불리웁니다.
최대 교정시력 이상의 시력향상이 가능할수 있으며 빛 번짐, 야간시력 저하 같은 부작용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을수 있는 시력교정수술의 종류입니다.
3. M 라섹
M라섹은 기존 라섹수술의 가장 큰 문제점인 각막 혼탁과 시력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라섹 수술시 각막 혼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수술방법입니다.
시력저하, 각막혼탁의 부작용이 현저하게 줄고 각막이 얇은 환자가 이용할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시력교정수술의 한 종류입니다.
바로가기 ☞ [라섹수술의 종류 더 살펴보기]
이렇게 다양한 시력교정수술의 종류가 있는 만큼 자신의 눈의 특성과 본인의 직업까지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수술방법이 많은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무리해서 수술을 받으려고 하기보단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수술방법이 어떤것인지 정확한 검사와 상담을 통해 찾아내 수술을 받을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S&B안과에서는 40여가지 정밀한 첨단 검사시스템을 통한 분석을 근거로 개인의 직업과 안구상태에
최적화된 안전하고 적합한 수술방법을 적용하여 수술을 진행하고 있어 시력회복의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S&B홈페이지를 통해 라식, 라섹, 안내렌즈삽입술 등 시력교정술에대한 비용, 과정 등 문의사항을
상담해볼수 있으니 홈페이지를 둘러보시고 필요하신분은 상담을 진행하셔서 시력교정술에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수술 방법과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 [S&B안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소중한 눈에 수술을 진행하는 시력교정술이므로 신중하게 결정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시력회복의 효과는 높이시기 바랍니다.
'자기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가 좋아지는 생활속 습관 10가지 (0) | 2013.05.08 |
---|---|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와 모공 관리 방법 (0) | 2013.04.23 |
다이어트에 성공하는 노하우 정리 (0) | 2013.03.28 |
이미지관리 남자의 피부관리 방법 (0) | 2013.03.25 |
중국어 경쟁력과 중국어 시험의 종류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