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육권

성격차이로 인한 이혼시 고려해야할 법률은?! 부부관계를 잘 유지하며 살아가고있는 사람에게는 '성격차이로 이혼까지 하나?' 라는 생각이 들수있지만 부부간 성격차이가 심해 이혼까지 고려하는 사람에게는 성격차이로 인한 고통이 다른 어떤 이유보다 크게 다가올 것입니다. 실제로도 이혼 사유에 관한 통계를 살펴보면 성격차이로 인한 이혼이 전체 이혼중 약 50%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성격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이혼을 하고있는데요! 물론 이혼만이 정답은 아니며 성격차이를 잘 극복해내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가정이 있지만 더이상 참기가 어려워 심사숙고한 끝에 이혼을 결심했다면 미래에 후회를 남기지 않기위해 법적인 문제를 제대로 정리해 두는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이혼을 결심했을때 고려해야할 법률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성격차이로 이혼과 관련된 법률적인 문제를 살펴보면 .. 더보기
협의 이혼 전 합의해야 할 사항은? 경제적인 문제, 성격차이, 가족간 불화 등 다양한 이유로 이혼을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부부가 생존 중에 혼인을 해소하는 이혼은 협의이혼, 재판이혼, 조정이혼으로 나눌수 있으며 그 중 협의이혼이란 부부가 이혼하기로 합의가 되어 법원의 판사 앞에서 협의 이혼의사를 확인받아 호적법에 의하여 신고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하는 이혼을 말합니다. 지금부터 협의이혼 전 합의해야 할 사항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의이혼 전 합의사항 이혼이란 오랜시간 가족으로 살아오다가 인위적으로 관계를 해소하는 절차인만큼 정리해야 할것들이 많을수 밖에 없기때문에 협의이혼을 신청하기 전 재산문제, 자녀문제 등 모든 문제를 합의해야 합니다. 1. 재산과 관련된 문제 이혼 시 재산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면 재산분할권, 위자료 등 이.. 더보기
이혼관련통계 (이혼사유, 이혼종류, 동거기간) 및 이혼관련 법률 정리 우리나라의 2010년 ~ 2012년 혼인과 이혼에 관한 통계를 살펴보면 매년 약 32만건의 혼인(2010년 326,104건, 2011년 329,087건, 2012년 327,073건)이 발생하고 약 11만건의 이혼(2010년 116,858건, 2011년 114,284건, 2012년 327,073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혼인 : 이혼의 비율이 3 : 1인 수준으로 많은 부부들이 이혼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이혼율 1위를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는데요! 오늘은 우리나라의 이혼에관한 통계와 이혼관련 법률정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이혼과 관련된 통계 1. 이혼 사유별 통계 매년 이혼이 10만건이 넘을정도로 많은 부부들이 이혼하고 있는데요! 도대체 어떤 사유로 인해 이혼을 결심하게 되는.. 더보기
재판 이혼의 원인이 되는 이혼사유들 이혼이란 부부가 생존 중에 부부관계를 인위적으로 소멸시키는것을 말합니다. 이혼에는 협의상 이혼과, 조정이혼, 재판상 이혼으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협의이혼이란 원인의 여하에 관계없이 부부간 협의를 통하여 이혼하는것을 말합니다. 조정이혼은 가사소송법에 따라 조정전치주의를 채용하여 재판상 이혼의 심판청구를 위해 가정법원의 조정을 받아야 하므로, 조정절차에서 이혼합의가 이루어지면 그것을 조서에 기재함으로써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인정받게되는것을 말합니다. 재판상 이혼이란 법에서 정해놓은 이혼의 원인이 발생하였으나 부부간의 합의가 원활하지 않아 가정법원에 이혼소송을 청구하여 판결의 선고로써 이혼이 성립되는것을 말합니다. 재판이혼에서 말하는 이혼사유는? 1. 부정한 행위 배우자로서 정조의무에 충실하지 못한 일.. 더보기
이혼시 양육권자 결정기준 이혼을 결심했을때 자녀가 있다면 자녀 양육에관한 문제가 가장 큰 고민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특히 자녀가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할수 없는 미성년자라면 그 고민은 더욱 커질수 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이혼시 자녀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인 양육권에대한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양육권이란 무엇일까요? 양육권이란 부부가 이혼한 후 미성년의 자녀를 누가 양육할 것인지에 관한 권리로 양육권에관한 문제를 부부간 협의를 통해 결정할수 있지만, 서로 협의가 안되었을 경우 법원에 양육자를 정해달라는 청구를 할수 있습니다. 양육권 협의 및 심판 청구 이혼을 할때 또는 이미 이혼을 하고 난 뒤 부모는 자녀를 누가 맡아 키울 것이며, 양육비는 누가 얼마를 부담할 것인지에 대하여 협의에 의하여 정하게 됩니다. 하지만 자녀양육에 관하여 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