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개인 신용등급의 중요성이 크게 느껴지지 않아 관리를 제대로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것입니다.
하지만 대출을 비롯한 금융기관에서 신용과 관련된 거래를 할 필요성이 발생하면 그때서야 개인 신용등급의
중요성을 깨닫고 후회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이유를 간단히 살펴보면 개인 신용등급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 및 한도, 금리까지 정해지기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평상시 개인 신용등급에 관심을 갖고 제대로 관리하여 손해를 보는일을 줄이도록 해야합니다.
지금부터 평상시 할수 있는 개인 신용등급 관리 노하우를 알아보겠습니다.
대출이자와 카드결제 대금을 연체하는 행동은 개인 신용등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보통 이자불입날이나 카드결제일을 깜빡하고 놓치는 경우 바로 연체로 연결되게 되며
이때 바로 불입을 하고 해제하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이런 단기연체가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연체가 장기화되게 되면 누적이 되어 신용평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러므로 되도록 자동이체를 이용하여 대출이자와 카드결제 대금 납입을 놓치지 않도록 하며
통장의 잔액을 수시로 확인하여 납입금액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해야합니다.
본인의 능력이나 재산정도를 초과하여 지나친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좋은 신용등급을 평가받기 어렵답고 할수있습니다.
이는 무담보대출은 물론이고 담보대출 역시 해당되는 사항으로 대출금액과 대출건수가 많으면
신용등급에 부정적 요인이 됩니다.
특히 보증을 선 경우 금융권에서는 대출과 마찬가지로 보고있어 본인의 대출한도를 줄여버리거나
신용도 하락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되도록 보증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신용카드 결제대금을 연체하게되면 개인 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특히 신용카드 결제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하게될경우 신용불량자로 등제될수도 있기때문에
납입가능한 금액 내에서만 신용카드를 사용하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편리하다는 이유로 카드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금융채무와 관련된 정보로써
너무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는것이 좋습니다.
연체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것도 상당히 중요하지만
평소에 본인의 신용정보를 꼼꼼히 확인하는것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본인의 신용거래가 제대로 등록되어 관리되고 있는지, 혹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는 거래가
시도 된적은 없는지, 오류 등록된 데이터는 없는지 등을 꼼꼼히 확인하여 피해 보는일이 없도록 해야합니다.
예전에는 신용조회를 자주하면 신용등급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2011년 10월부터 폐지가되어 신용조회로 신용등급이 하락되지 않도록 변했기때문에
필요시 또는 주기적으로 신용등급을 확인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무리 급하더라도 대출은 시중은행을 이용하는것이 좋고, 가급적 주거래 은행을 이용하는것이
타 금융권보다도 가장 저렴한 금리조건으로 받을수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대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저축 은행 또는 캐피탈 등의 금융회사를 이용하는것이 좋으며
부득이하게 대부업체를 이용하려 한다면 꼭 등록된 대부업체인지 확인해보고 이용하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여유자금이 생겨 대출금 상환을 할지 재테크를 할지 망설이시는 분들을 볼수 있는데
낮을대로 낮아진 시중 예적금의 이자로는 대출이자를 따라갈수 없으며, 주식, 펀드등의 투자수단은
리스크를 동반하고 있기때문에 대출금 상환을 최우선 순위로 두는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연체기간이 장기일수록 신용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오래된 연체부터 상환하는것이 개인 신용등급 관리에 유리합니다.
지금까지 평상시 개인 신용등급 관리 노하우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신용등급은 하루아침에 올릴수 없기때문에 필요할때 신용등급을 관리하고자 하면 늦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평상시 신용등급을 철저하게 관리하여 좋은 신용등급을 유지하시기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시대 해외펀드 투자 노하우 (0) | 2014.10.20 |
---|---|
고수익을 위한 주식형 펀드 선택 방법 (0) | 2014.10.14 |
해외여행 돈 절약하는 소소한 방법들 (0) | 2014.07.29 |
내집마련 재테크 노하우 (0) | 2014.07.20 |
생활속 재테크 잘하는 방법은? (0) | 201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