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원금보장형 투자 금융상품 지수연동 상품

 

원금보장이 되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으로는 은행의 예금과 적금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같은 저금리시대에는 은행의 예금과 적금 상품으로는 연 2 ~ 3%대의 수익밖에

얻을수 없기때문에 물가상승률을 따라잡기도 벅차기만 합니다.

이런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원금보장형 금융상품인 지수연동 상품을 들수 있는데요!!

오늘은 은행과 증권사의 지수연동상품을 알아보겠습니다.

 

 

▶ 은행에서 판매하는 주가지수 연동예금 ELD

 

ELD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주가지수 연동예금을 말합니다.

수익이 주가지수의 변동에의해 결정되고 투자한 원금은 정기예금에 넣어놓고

발생하는 이자를 투자하여 추가수익을 내는 구조로 원금보장이 되는 금융상품입니다.

단! 중도해지를 할경우 원금에 손실을 입을수도 있으니 계획적인 재테크가 필요한

금융상품입니다.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를 동시에 받을수 있는 예금으로 투자전 수익의 상한과

하한을 정하기때문에 시중금리보다 3%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주가연계증권 ELS

 

ELS는 증권사의 지수연동상품으로 투자금의 70% ~ 90%는

안정적인 국고채에 투자를 하여 발생하는 이자 등을 고려하여 원금을 보장하도록 하고

남은 투자금은 옵션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ELD에 비해 리스크는 있지만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볼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ELS에는 스텝다운형, 녹아웃형, 디지털형, 리버스컨버터블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띄고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스텝다운 형과 녹아웃형을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녹아웃형 - 투자기간 중 미리 정해놓은 주가수준에 한번이라도 도달하게되면

               확정수익을 주는 형태의 ELS입니다.

 

스탭다운형 - 특정주가를 x개월마다 중가평가를 하고 평가일에 Y%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연 Z%의 수익을 지급하고 조기 상환하는 형태의 ELS입니다.

 

▶ 원금보장형 펀드 ELF (주가연계펀드)

 

원천적으로 원금을 보장하는 펀드는 없다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연계펀드인 ELF는 ELS상품을 펀드에 편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원금보장형 펀드를

구성하여 판매하는 형태의 상품으로 구조는 ELS와 비슷한 형태를 띄고있씁니다.

 

펀드투자금의 대부분을 국공채나 안전한 회사채에 투자하여 원금을 보장하도록 하고

나머지 투자금액은 펀드 수익률이 주가에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지수가 x%로 상승하면 연 최대 y%를 주는 형태입니다.

 

지금까지 지수연동 상품인 ELD, ELS, EL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3가지 지수연동상품은 모두 원금보장형과 원금 비보장형이 존재하며

원금보장형이라고 하여도 투자선택이 잘못될 경우 이자수익이 전혀 발생하지 못할수도 있고

원금 비보장형이라도 리스크는 높지만 원금보장형에 비해 높은 수익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지수연동상품의 경우 다양한 구조를 띄고있기때문에 주가변동 추이를 잘 살피고

적합한 구조의 상품을 가입할수 있어야 하며 서두에서 말했듯이 가장 안정적으로 이자수익을

발생시키는것은 은행의 예금과 적금이며,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해볼수 있는 금융상품은

펀드 및 주식이기때문에 자신의 재무상황과 투자성향에 따라 체계적으로 자산을

운용할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이런 부분은 개인 혼자서 진행해나가기에 어려운 부분이 많기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것이 효율적일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된 리더스리치에서는 자신의 자산운용이나 관심있는 재테크 분야에 대해

전문가와 무료로 상담해볼수 있고, 자산관리 포트폴리오까지 100%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으니

필요하신분은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리더스리치] 개인맞춤형 재테크상담 및 포트폴리오 무료제공 신청페이지 바로가기

 

적절하게 활용하여 개인 자산관리와 재테크에 많은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