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일반 소비자들의 경기가 어렵기때문에
요즘에는 소비를 줄이고 저축규모를 늘리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절약을 통해 돈을 모으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지만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고 저축만 한다면
자산의 규모는 커지나 자산의 실제가치가 절감될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
학창시절의 사회 또는 경제시간에 인플레이션에 대해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으로서 예를들어 현재 1억원을 가지고 있고 물가가 5%로 오른다고 가정하면
5년후 돈의 가치는 7,800만원, 10년후에는 6,100만원의 가치밖에 되지 않게 됩니다.
즉, 물가상승률을 5%로 가정했을경우 내 자산의 순가치는 15년후에는 반토막이 되며
물가상승률을 3%로 낮춰 잡아도 내자산의 순가치는 20년 후에 반토막이 됩니다.
합리적인 재테크 방법 |
합리적으로 돈을 모으기위한 재테크 방법을 쉽게 생각해보면
물가상승률 이상의 금리를 받을수 있는 금융상품에 저축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요즘 은행의 예적금 금리가 제 1금융권은 4%를 넘지 못하고
저축은행의 금리도 5%를 넘지 못하는 저금리 시대이기 때문에 저축만으로는
물가상승률을 감당해내기 쉽지 않습니다.
이런 저금리 고물가의 경제상황에서 합리적인 재테크 방법은 무엇일까요?
저는 투자라고 생각을 합니다.
투자라고 하면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기때문에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지만
원칙과 시간이 담보된 투자는 그 리스크를 최소화 할수 있다는
제대로 된 투자마인드를 고 투자에 임하게 되면
투자의 위험은 줄이고 기대수익률을 높일수 있습니다.
투자의 3가지 원칙 |
그렇다면 어떻게 투자를 진행해야 바람직한 투자가 될까요?
투자에는 여러가지 원칙이 있지만 아래의 3가지 원칙만 이해하시게 되면
바람직한 투자를 진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자원칙 1. 기대수익이 높을수록 위험도 높아집니다.
투자원칙 2. 금방 써야하거나 원금을 잃으면 안되는 돈은 저축하고
오래동안 묻어둘수 있는 돈과 여유돈 등 시장의 변동을 견딜수 있는 돈은 투자합니다.
투자원칙 3. 저축의 위험부담은 은행과 국가가 지지만,
투자의 위험부담은 투자자가 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바람직한 투자방법은? |
투자의 성공여부는 기대수익에 수반되는 위험을 얼마나 잘 통제하는지에 있으며
장기투자와 분산투자가 이런 투자리스크를 대하는 해법이라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주식에서 단타를 치거나 주식대박으로 부자가 되시는 분들도 있지만
그런분들은 극소수라는 점도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요즘과 같은 저금리, 고물가, 고령화 사회에서 투자는
공격적인 자산운용의 수단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산과 재무적인 가치를 합리적으로 방어하다는 수단이라는 점을
이해하시고 시간과 원칙이 수반되는 합리적인 투자 방법을 통해
돈을 합리적으로 모으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자신의 재무관리등급을 셀프로 테스트 해볼수 있는 재무등급 테스트 페이지와
개인 맞춤형 재테크 상담을 재무전문가에게 받을수 있는 무료상담신청페이지를
링크걸어두니 필요하신분은 이용하시면 개인 자산을 합리적으로 불려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링크] 개인맞춤형 재테크 방법 무료상담 신청페이지 (전과정 무료)
저금리, 고물가, 고령화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합리적으로 돈모으는 방법을 통해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아 경제적으로 풍족하고 윤택한 삶을 사시기 바랍니다.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투자 설계 하는 방법 (0) | 2013.03.05 |
---|---|
현명한 재테크란 (0) | 2013.03.04 |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위해 재무설계 받을때 고려할점 (0) | 2013.02.28 |
재테크 추천상품 비과세 복리 저축보험 (0) | 2013.02.27 |
재테크 채권투자로 도전해보세요! (1) | 201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