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를 함에 있어 어떤 금융상품을 통해 관리를 해야할까요?
이미 시중에 나와있는 금융상품의 종류만해도 수천가지가 넘고 금융상품마다 각각의 장단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자신에게 적합한 금융상품을 찾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금융상품 중에서 재테크를 할때 이용하면 좋을만한 금융상품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상품을 정리하기 앞서 각 금융사(은행, 증권사, 보함사)의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은행에서 판매하는 금융상품 -
장점 : 예금, 적금등 금융상품이 안전성이 있습니다.
단점 : 다른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습니다. |
- 증권회사에서 판매하는 금융상품 -
장점 : 대부분 투자형 상품으로, 다른상품들에 비해 수익성이 높습니다.
단점 : 투자 실패시 원금손실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
- 보험회사에서 판매하는 금융상품 -
장점 : 위험보장이되고 연금상품 종류에 따라 노후보장이 가능합니다.
단점 : 장기상품이여서 중도해지가 어렵고 중도해지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각 금융사별로 장단점이 존재하기때문에 개인의 재무상황과 투자성향을 고려하여 재테크에 이용해야 합니다.
- 재테크에 이용하면 좋은 금융상품 정리 -
1. 예금과 적금
저축의 가장 대표적인 상품으로 보통 1 ~ 3년정도의 투자기간이 필요로 하고 원금보장의 안전성과 4%내외의 수익을 얻을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은 고물가시대에는 실질적인 금리는 마이너스가 될수도 있는 상품이기때문에 효율적인 재테크를 위해 전략적으로 운영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2. CMA와 MMF
① CMA (종합자산관리 계좌, Cach Management Account)
CMA는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어음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돌려주는 상품입니다.
6개월 미만의 단기 유동성 자금이 있을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MMF (수시 입출금식 수입증권, Money Maket Fund)
유가증권등의 운용비율에 대한 제약이 없고, 단기성자산에 투자하는 단기투자형상품입니다.
CMA와 마찬가지로 1년 미만의 단기 유동성 자금이 있을때 활용하면 좋고, 펀드를 환매하는 경우와 예금, 적금이 만기가 되어 잠시 돈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해도 좋은 금융상품입니다.
그외 비슷한 상품으로 MMT와 MMDA가 있습니다.
3. 채권
채권은 특수법인, 금융기관, 주식회사, 정부 등이 일반인으로 부터 자금을 일시에 조달받기 위해서 발행하는 증서입니다.
- 채권의 종류 -
발행주체에 따라 : 국채, 정부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
이자지급 방법에 따라 : 이표부채권, 할인채, 복리채
상환기간에 따라 :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 |
채권의 장점으로는 수익성, 안정성, 유동성이 있습니다.
4. 펀드
펀드는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실적 배당형의 투자기금입니다.
투자자를 대신하여 자산운용사가 투자를 대신해주는 대표적인 간접투자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펀드에는 국내의 주식, 채권등에 투자하는 국내펀드와 해외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하는 해외펀드가 있습니다.
투자비중을 기준으로 나누면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이 있고 투자 대상에 따라 나누면 부동산, 특별자산(선박, 도로 등), 실물자산(금, 은, 구리, 철, 원유 등)으로 나뉩니다.
5. 주택청약종합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민영주택과 공영주택의 청약이 가능한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등 기존의 주택청약 관련 금융상품에서 구분되었던 기능을 합친 종합통장입니다.
누구든지 1인 1계좌로 가입가능하고, 납입금액을 2 ~ 50만원안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지수연동상품
① ELD(주가지수연동예금)
수익이 주가지수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예금을 말합니다.
고객이 투자한 원금은 정기예금에 넣어놓고 발생하는 이자를 투자하여 추가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단, 중도해지를 할 경우 원금에 손실을 입을수 있습니다.
ELD의 장점은 원금보장과 예금자 보호를 동시에 받을수 있는 정기예금이고 투자 전에 수익의 하한선과 상한선을 정하기 때문에 시중 금리보다 3%정도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② ELS(주가연계증권)
증권사의 지수연동상품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품입니다.
투자금의 70 ~ 90%는 안정적인 국고체에 투자하여 이자등을 고려하여 원금을 보장하도록 하고 남은 투자금을 옵션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리스크는 존재하지만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수 있는 상품입니다.
ELS의 형태는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스텝다운형과 녹아웃형이 있습니다.
③ ELF(주가연계펀드)
ELS상품을 펀드에 편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원금보장형(원금보장이 아닌 원금보장형입니다) 펀드를 구성해 판매하는 형태의 상품으로 ELS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7. 개인연금상품
보험사의 대표적인 재테크 상품으로 노후에대한 준비를 하기에 좋은 금융상품입니다.
대표적으로 일반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변액유니버셜보험등이 있습니다.
① 일반연금보험
일반연금보험은 공시이율에 따라 연금수령액이 결정되며 예금자 보호까지 받는 안정적인 보험상품이지만 큰 이익을 기대하긴 힘든게 단점입니다.
② 연금저축보험
요즘 직장인사이에서 큰 인기를 끄는 상품으로 복리이자에 유일하게 소득공제혜택을 줍니다.
셰제적격연금이라고 불리는 연금저축보험은 리스크의 최소화를 추구하는 안정성 위주의 투자자나 공격성투자를 줄여야 하는 장년층이 이용하면 좋을만한 상품입니다.
③ 변액연금보험
펀드투자 수익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결정되는 보험입니다.
일반연금보험보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한데 변액유니버셜보험처럼 리스크가 크지 않기때문에 전략적으로 운영할수 있습니다.
요즘 변액연금보험 상품은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연금으로 수령시 원금의 200%까지 보증하는 상품이 출시되기도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재테크에 이용하면 좋을만한 금융상품을 알아봤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금융상품이 존재하기때문에 자신의 나이와 재무상황, 투자성향까지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운영하시기 바랍니다.
단, 어떤 금융상품이 좋다고 하여 한 금융상품에 소위 몰빵하는 투자방식은 위험한 방법입니다. 금융상품은 종류별로 안정성과 수익성이 다르기때문에 적절한 비율의 분산투자로 자산을 운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싶으신 분은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재무설계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런 과정을 혼자서 수립하기에는 어려운부분이 많고 한계가 따릅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함께 현재의 재정상태 및 미래에 관한 계획과 관리를 받을수 있는 재무설계가 필요합니다.
특히 자신의 재테크 가이드라인을 세우시길 원하는 분들께서는 재무설계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 링크된 리더스리치 재무설계센터에서는 온라인으로 신청한 모든 분들에게 재무관리에 대한 상담을 무료로 진행하고 자산관리 포트폴리오도 제공하고 있으니 이용이 필요하신분들은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리더스리치] 재무설계 계획, 관리 상담 및 포트폴리오 전과정 100% 무료제공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릴께요!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 직장인의 재테크 원칙 (0) | 2013.01.29 |
---|---|
재테크의 기초상식 (0) | 2013.01.27 |
노후준비에 이용하면 좋은 금융상품 (0) | 2013.01.24 |
절약을 통해 재테크 도전하기 (0) | 2013.01.22 |
주부 재테크방법으로 내조의 여왕 되기 (0) | 201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