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날이 되면 기쁜것도 잠시... 대출원리금, 보험금 등으로 월급이 속속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누구나 경험해봤을 것입니다.
직장인들은 이런상황들이 악순환처럼 반복되다보니 자연스레 재테크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상황들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개척하고 효율적으로 목돈을 만들수 있는 재테크 전략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제는 재테크의 개념에서 한발 더 나가 재무설계를 목표로 단기적인 시각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합니다. 단기적인 재테크로 자산을 늘릴수 있는 시기는 지났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이대별로 다른전략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합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재무설계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령대별 투자전략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령대별 투자전략 ◈
20대라면 공격적인 투자방법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에 발을 들인 사회초년생일 경우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인생의 재무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돈이 들어갈 곳이 한두군데가 아니고 결혼, 출산, 내집마련등의 큰돈 들곳이 많으니 자신의 인생계획과 재무계획을 설정하는것이 재테크를 시작하는 것보다 우선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가정이 없기때문에 비교적 돈이 들어갈 곳이 적기때문에 소득중 절반은 저축과 투자에 사용하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지금은 와닿지 않겠지만 보험도 나이가 적으면 적을수록 가입시 보험료가 적으니 20대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30대 자녀교육비, 내집마련, 노후자금을 목표로 설정
30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자신의 가족과 자녀가 생기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는 자녀교육비, 내집마련자금, 노후자금을 준비해야 할 시기로서 이때에는 연금저축 및 변액유니버셜 보험, 장기주택마련 상품을 적극 활용하여 세제혜택, 노후준비, 자녀학자금등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40대, 50대 적극적으로 자산형성을...
40대와 50대라면 소비와 지출이 가장 많은 시기이지만 자산이 가장 많이 모여진 시기입니다. 즉 20대~30대에 모은 목돈을 굴려야 할 시기입니다.
하지만 수익률이 좋은 상품이라고 리스크를 고려하지 않고 투자를 하게되어 만약 원금의 손실을 입게 된다면 복구하기 쉽지 않은 나이이기 때문에 재산 중 절반은 안전형 상품에 나머지는 부동산 또는 주식과 주식형 펀드등에 분산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노후대비를 위해 그전에 가입해뒀던 연금상품이 있다면 불입액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60대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투자
대부분의 60대는 은퇼르 한 시점이기 때문에 연금수입을 제외하면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60대에는 수익성보다는 안전성에 초점을 맞춰 비과세되는 생계형상품과 세금우대를 적용하는 세금우대상품을 활용하여 자산을 관리해야하며 생활비는 하루만 맞겨도 이자가 붙고 보통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CMA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0대 : 재무목표 설정 및 보험가입 |
30대 : 연금저축, 변액유니버셜 보험, 장기주택마련 상품 적극 활용 |
40대, 50대 : 안전형상품과 투자형 상품에 분산투자 |
60대 : 비과세인 생계형 상품과 세금우대상품, CMA 적극 활용 |
지금까지 연령대별 투자 및 재테크 전략을 살펴봤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경제상황과 연령대, 은퇴시기에 맞게 투자전략과 재무설계를 현명하게 구성하여 실행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부분은 혼자서 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기때문에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재가 소개할 리더스리치는 무료로 재무설계 상담과 재테크 진단, 각자의 투자성향과 상황에 알맞은 포트폴리오를 추가비용 전혀없이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하신분은 부담없이 이용해 보세요~!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 30대 복리와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으로 재테크에 도전하자 (0) | 2012.11.30 |
---|---|
40대 직장인의 재무설계 노하우 (0) | 2012.11.27 |
미리보는 2013년 부동산 전망 (0) | 2012.11.21 |
안전한 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을 위한 원금보장형 금융상품들 (0) | 2012.11.19 |
돈모으기 좋은 금융상품 기간별 정리 (0) | 201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