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30대 복리와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으로 재테크에 도전하자
직장생활을 하는 20대와 30대라면 누구나 한번쯤 재테크에대해 생각해보았을 것이고, 예금 또는 적금통장을 하나씩은 운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재테크는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20대 또는 30대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 합니다. 왜냐하면 재테크는 시간과 기회의 싸움입니다. 20대와 30대부터 시작한 재테크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더 있고 다양한 기회를 만날 수 있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재테크의 효과를 더욱 많이 볼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시간이 많다고 하여 뒤로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부터 20대와 30대의 재테크 잘하는 방법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복리효과
우선 복리에대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복리는 원금을 기본으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간단한 예로 복리와 단리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단리의 예) 1억원의 자금을 25년동안 연 6%의 단리형 예금에 투자를 하게되었을 경우 만기시에 2억 5천만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
복리의 예) 1억원의 자금을 월복리 0.5%로 25년간 예치를 하게 되면 4억 4600만원을 만기시 수령하며 단리와는 약 2배정도의 차이가 나게 됩니다. |
위의 예에서 보듯이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시간이 길수록 차이가 더욱 많이 나게 됩니다.
물론 20년간 정기예금 상품은 드물고 복리금융상품을 찾기 힘들지만 자신이 직접 복리의 방식을 따라하면 단리예금으로도 복리효과를 누릴수가 있습니다.
▣ 주거래 은행을 만들자!
20대와 30대라면 재테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주거래 은행을 만들어야 합니다.
주거래은행을 만들게 되면 신용카드 사용액과 자동이체 실적, 월평균 예적금 잔액 등을 고루 살펴보고 고객의 등급을 매겨 주고 있습니다.
주거래은행의 등급이 높아질수록 금융거래를 할때의 수수료나 금융상품에 대한 금리의 우대가 들어가기 때문에 다른 일반 고객보다 더욱 많은 해택을 누릴수가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여러은행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최대한 한 은행에 집중하여 투자하는 것이 좋으며 월급통장이 있는 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모든 거래를 주거래 은행에서만 하는 것 보다는 금리를 확인하여 좀 더 나은 곳에 투자하는 것은 기본이겠죠!!
▣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
우선 재테크의 기본은 예금과 적금이 기본입니다.
펀드나 복리연금 등 많은 금융상품들이 있지만 예금과 적금을 기본으로 두고 돌아가지 않는다면, 재테크에 성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예금과 적금을 기본으로 적립식 펀드, CMA, MMF등을 눈여겨보고 잘 활용하면 재테크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단 적립식 펀드의 경우는 단기적인 활용보다는 장기적인 활용에 유리하고 CMA와 MMF의 경우는 단기적인 활용에 유리하니 금융상품 특징에 맞는 기간운용으로 재테크에 성공하세요~!
구체적인 재테크 방법은 개개인의 상황과 직업, 연령에 따라 그방법을 달리 해야 합니다.
즉, 자신만의 재테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실천해 나가다보면 성공적인 재테크를 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자신에게 가장 알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어렵다고 생각되어지는 분은 재무상담을 이용해보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재무상담의 경우 예전에는 일정금액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받아야 했지만 요즘은 무료로 상담해주는 곳이 많기 때문에 찾아보면 부담없이 이용할수 있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
그중 재가 소개할 리더스리치는 재무설계 분야 1위의 점유율로 중소기업브랜드 대상을 받은 곳으로 재무상담 및 개개인별 상황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확실한 재테크 방법을 알고 싶다면 리더스리치를 활용하여 도움을 받아보세요!!